본문 바로가기
Whisky & Whiskey/Distillery & Brand

바튼/1792(Barton 1792), 바즈타운 기반의 다목적 대형 증류소

by Y's Spirits Archive 2024. 12. 21.
반응형

Barton 1792 Distillery

 

 19세기 중반, 존 그레이브스 매팅리(John Graves Mattingly)라는 사람이 켄터키의 매리언 카운티에 "JG Mattingly & Sons Distillery""Marion County Distillery"를 포함해 여러 증류소를 설립하고 증류 산업 전반에 관여했다고 전해진다. 그는 존 G. 매팅리 주니어(John G. Mattingly Jr.)와 벤자민 S. 매팅리(Benjamin S. Mattingly)라는 두 아들을 두었고, 벤자민 S. 매팅리는 벤자민 F. 매팅리(Benjamin F. Mattingly)라는 아들을 두었다. 그는 당시 켄터키 버번 산업에서 두각을 드러내고 있던 윌렛(Willett) 가문의 자녀인 캐서린 윌렛과 결혼하여 바즈타운 남쪽에 위치한 "Franke & Willett Distillery"에서 일하기 시작했다.

 

 

윌렛(Willett) & 켄터키 버번 디스틸러스(Kentucky Bourbon Distillers)

Willett & Kentucky Bourbon Distillers  1657년 영국 허트포드에서 태어난 에드워드 윌렛(Edward Willett)은 백랍 제조공이었던 그의 삼촌 리차드 윌렛을 따라 미국으로 건너갔다. 이후 런던으로 파견된 그는

labas24.tistory.com

 

 1853년, 넬슨 카운티에서 태어난 토마스 S. 무어(Thomas S. Moore)는 어린 나이에 아버지를 여의면서 가족을 부양하기 위해 일을 해야만 했다. 그는 어머니와 형제 그리고 2명의 자매와 함께 살았는데, 자매 중 한 명이 부유했던 윌렛 가문의 찰스 윌렛과 결혼하면서 사돈 관계가 된다. 1874년, 22살이 되던 해에 그는 메리 버지니아 콜링스와 결혼한 뒤 같은 해에 "Frenke & Willett Distillery"에서 일하게 되었는데, 그는 그곳에서 또 다른 신입 직원인 벤자민 F. 매팅리를 만나게 된다.

 

 1876년, "Frenke & Willett Distillery"의 소유주였던 존 데이빗 윌렛(John David Willett)이 지병으로 인한 건강 악화로 그의 회사와 증류소에 대한 지분을 두 부부에게 매각했다. 1879년, 사업을 같이 이끌어나가게 된 벤과 톰은 바즈타운에 80에이커 상당의 새로운 "Mattingly & Moore Distillery"를 설립하여 다양한 위스키 브랜드를 만들었고 버번 황금기를 이끌었다.

 

Mattingly & Moore Distillery

 

  • Belle of Nelson
  • Morton's Spring Rye
  • Mattingly & Moore Bourbon

 

 존의 아들이자 벤과 톰의 처남이었던 엘로이시어스 램버트 윌렛(Aloysius Lambert Willett)은 이후 "Mattingly & Moore Distillery", "Frenke & Willett Distillery", "Max Selliger & Co. Distillery"  등지에서 약 25년간 근무하면서 증류 산업에 족적을 남긴 아버지의 유산을 물려받았으며, 금주법이 폐지되자마자 "Willett Distilling Co."를 설립하고 가족의 오랜 숙원이었던 증류 사업을 다시 일으켰다.

 

 벤 F. 매팅리의 할아버지인 존 그레이브스 매팅리가 운영했던 "JG Mattingly & Sons Distillery"는 조지아주에서 시작된 금주 운동이 전국적으로 퍼지면서 타격을 입었고 재정적으로 악화되면서 파산해버렸다. 1888년, 애틀랜타에서 이주해 온 존스 가족이 이를 매입하면서 후에 "Four Roses Distillery" 알려지게 된다.

 

 

포 로지스(Four Roses), 다양한 레시피와 향기로운 버번

Four Roses Distillery 1840년 버지니아 린치버그의 부유한 가정에서 폴 존스 주니어(Paul Jones Jr.)가 태어났다. 1860년경 남북전쟁이 발발하기 이전에 그는 조지아의 애틀랜타에서 서던 벨(Southern Belle)이

labas24.tistory.com

 

 1881년, 첫 번째 오크통이 무르익어갈 무렵 벤은 회사의 지분을 모두 외부 투자자 그룹에게 매각하고 떠난다. 1899년, "Mattingly & Moore Distillery"에서 십수년간 디스틸러로 종사해 온 톰은 이후 증류소 인근 약 116에이커 상당의 부지를 매입하여 자신의 이름을 딴 "Tom Moore Distillery"를 설립하고 다양한 위스키 브랜드를 출시했다. 이후 낳은 여섯 명의 자녀들이 그의 증류 사업에 고용되어 관리자들을 도왔다고 전해진다.

 

Tom Moore Distillery

 

  • Tom Moore
  • Dan'l Boone
  • Silas Jones

 

 1916년, 외부 투자자들에게 매각되었던 "Mattingly & Moore Distillery"가 파산하면서 이곳에서 생산된 주류를 취급하던 루이빌의 주류 유통업체가 증류소를 인수했다. 이후 새로운 증류소를 통해 많은 돈을 벌어들인 톰은 옛 자신이 소유했던 "Mattingly & Moore Distillery"와 그 부지 그리고 인근에 위치한 2개의 증류소를 인수/합병하여 약 196에이커에 달하는 공장 및 창고 단지를 구성했다. 증류 사업을 통합한 그는 생산 효율을 높이기 위해 오래된 건물들을 철거했다. 이 기간 동안 버번 위스키의 인기가 정점을 달리면서 그의 증류소는 엄청난 생산량을 자랑했고 사업은 날이 갈수록 번창했다.

 

 1919년, 제18차 개정안인 볼스테드법(Volstead Act.)이 통과되고 이듬해에 전국적으로 금주법이 일어나면서 큰 위기가 찾아왔다. "Tom Moore Distillery"는 의료용 알코올을 생산 및 판매할 수 있는 합법 면허를 받지 못해 폐쇄될 위기에 처했으나, 미국 정부로부터 의약 허가를 받은 6개의 회사 중 한 곳과 계약을 맺어 일부 생산을 재개할 수 있었다.

 

 1934년, 톰은 금주법이 폐지되는 것을 지켜본 뒤 세상을 떠났다. 이후 아들인 콘 무어(Con Moore)가 아버지의 유산인 "Tom Moore Distillery"를 재건했으며 약 5만 배럴 상당을 저장할 수 있는 창고를 추가적으로 건설했다. 1944년, 제2차 세계대전으로 인해 증류소가 군수용 알코올 생산 시설로 전환되고 상업적으로 큰 손해를 보기 시작하자 콘은 시카고인 주류상인인 오스카 게츠(Oscar Getz)에게 회사를 매각했다. 그는 "Tom Moore Distillery""Barton Distillery"로 변경하고 두 가지의 켄터키 스트레이트 버번 위스키를 생산했다.

 

Barton Distillery/Glenmore Distillery (Barton Brands Ltd.)

 

  • Tom Moore Bourbon
  • Kentucky Gentleman Bourbon
  • Very Old Barton
  • Kentucky Tavern Bourbon
  • Ten High Bourbon
  • Walker's Reserve
  • Old Thompson
  • Impreial Blended
  • Fleischmann's Rye
  • Mr. Boston

 

 이후 "Barton Brands Ltd."로 법인화 된 회사는 사업 확장의 일환으로 오웬스버러에 위치한 "Glenmore Distillery"를 인수하여 해당 부지의 노후화 된 생산 시설은 폐쇄하고 병입 및 운송 시설을 유지하면서 "Hiran Walker & Sons Ltd."로부터 계승된 다양한 브랜드의 위스키를 생산하기 시작했다. 특히 이곳의 병입 시설은 지금까지도 "Sazerac Company"의 주요 시설 중 하나로 활용되고 있다.

 

 

 1993년, 뉴욕 기반의 주류 회사인 "Canadaigua Wine Company"가 자사의 맥주 유통과 병입 공장의 확보를 위해 "Barton Brands"를 인수했다. 1998년, "Constellation Brands"로 이름을 변경한 모회사는 다양한 종류의 주류 및 알코올 음료를 유통/판매하는 거대 기업으로 성장했으나 "Barton Distillery"의 주력 브랜드인 베리 올드 바튼스(Very Old Barton's)를 중서부 쪽으로 더욱 확장하려는 노력은 없었다.

 

 2002년, 회사는 포트폴리오 확장과 수퍼 프리미엄 제품군 확립을 위해 리지우드 리저브 1792(Ridgewood Reserve 1792)라는 브랜드를 출시하면서 과거 버번 생산의 유산을 이어나가기 시작했다. 해당 브랜드의 공격적인 마케팅을 통해 대성공을 거두면서 버번 및 알코올 음료 업계가 이 브랜드에 주목했다. 하지만 "Brown-Forman Corporation"측에서 리지우드 리저브 1792가 자신들의 오래된 브랜드인 우드포드 리저브(Woodford Reserve)와 비슷한 이름으로 출시하여 소비자들에게 혼동을 줄 수 있다고 주장하여 상표권 침해 소송을 걸었다. 2004년, 연방 판사가 "Brown-Forman Corporation"에 유리한 판결을 내리면서 이후 1792 리지몬트 리저브(1792 Ridegemont Reserve)로 변경하게 된다.

 

 2008년, 자회사인 "Barton Brands"에서 과거의 유산을 완전히 되찾기 위해 증류소의 공식 이름을 "Tom Moore Distillery"로 되돌렸으나, 이듬해 뉴올리언스 기반의 주류 기업인 "Sazerac Company"가 약 3억 3,400만 달러 상당의 거래를 통해 "Barton Brands"를 인수함에 따라 다시 "Barton Distillery"로 변경되었고 회사의 규모는 2배 이상 확장되었다.

 

 "Sazerac Company"가 비록 병입 공장 및 운송 시설을 위해 증류소를 인수하고 이름을 되돌렸다고는 하나 이들이 프리미엄 버번 위스키 브랜드를 포기하지는 않았다. 베리 올드 바튼과 1792 리지몬트 리저브의 후속 제품으로 1792 버번 제품군을 시장에 내놓았고, 이를 토대로 제품군을 확장해 나갔다. 회사는 지금도 과거의 유산과 역사를 적극적으로 복원하고 홍보하려 노력하고 있다.

 

 

 

 

 

 


 

 

 

 

 

 

 

 증류소는 켄터키주 바즈타운에 위치해 있으며, 이 지역의 석회암층을 통과하여 여과된 깨끗한 물을 생산 전반에 활용한다. 주로 톰 무어 스프링스에서 끌어온다. 버번을 생산하는 데 있어 주원료인 옥수수의 경우 증류소 반경 100마일 이내에서 재배 및 수확된 것을 사용한다. 호밀과 몰트의 경우 노스 다코타주나 미네소타와 같은 추운 북쪽 지역으로부터 공급받는다.

 

 선별 및 검사를 거친 각 곡물은 거대한 해머밀(Hammer Mill)에 의해 분말로 제분된 뒤 매쉬텁(Mash Tub) 또는 매쉬 쿠커(Mash Cooker)라 불리는 커다란 탱크에서 조리된다. 배치 1회에 옥수수 약 30만 파운드, 호밀 약 7만 파운드, 몰트 약 3만 파운드의 비율로 혼합될 수 있다고 하나 정확하지는 않다. 총 4 ~ 5개의 정확하게 알려지지 않은 곡물 혼합 비율(Mash Bill)을 활용하여 8개의 브랜드를 생산한다.

 

  • Original High Rye Bourbon Mash Bill : Corn 74%, Rye 18%, Malted Barley 8% (Undisclosed)
  • High Rye Bourbon Mash Bill : Corn 70%, Rye 25%, Malted Barley 5% (Undisclosed)
  • Low Rye Bourbon Mash Bill : Corn 70%, Rye 15%, Malted Barley 5% (Undisclosed)
  • Wheated Bourbon Mash Bill : (Undisclosed)
  • Rye Mash Bill : (Undisclosed)

 

 옥수수와 호밀은 처음부터 혼합되어 약 200도에서 9분간 조리된 후 약간의 냉각을 거쳐 몰트가 첨가된다. 이후 스테인리스 스틸로 이루어진 탱크로 펌핑된 후 이전 배치의 잔여 매쉬인 사워 매쉬(Sour Mash) 약 20%와 효모 그리고 물을 혼합하여 약 3 ~ 5일 동안 발효시킨다. 공정이 마무리되면서 알코올 도수 약 9 ~ 10%의 워시(Wash)가 탄생한다. 발효조 중 일부는 증류소 바로 뒤의 노천에 위치해 있어 계절에 따라 추위와 더위에 곧바로 노출되기도 한다.

 

  • 650,000gal Stainless Steel Mash Tank x13
  • 50,000gal Stainless Steel Fermenters x18

 

 

 증류소 내부의 스틸룸에는 리지몬트 스틸(Ridgemont Still)이라 불리는, 강철에 구리를 덧댄 연속식 증류탑이 여러 개 있다. 5층 높이에 직경이 72인치에 달하는 엄청난 생산 용량을 자랑한다. 이곳의 증류기가 다른 곳들과 차별되는 점은 석탄 가열 방식의 버너가 현재까지도 사용되고 있다는 점이다. 다른 2개의 천연가스 가열 방식 버너가 생산하는 것보다 이 석탄 가열 버너의 증기가 생산하는 증기의 양이 2배 이상 많다.

 

 증류소는 다른 여타 버번 증류소들과 마찬가지로 연속식 증류기인 비어 스틸(Beer Still/Column Still)과 단식 증류기인 더블러(Doubler/Pot Still)를 함께 사용하는 증류 방식을 채택하고 있다. 1차 증류를 통해 고순도의 증류액을 생산하며, 2차 증류를 통해 알코올 도수 약 67.5%(135 Proof)의 화이트 도그(White Dog)를 생산한다. 컬럼 스틸에 일부 정류(Rectifying Column) 등을 부착하여 곡물 중성 증류주(Grain Neutral Spirit), 럼, 진, 보드카와 같은 스피릿을 생산하기도 한다.

 

  • 50,000gal Beer Still (Continous Column Still) / Doubler (Pot Still)

 

 

 화이트 도그는 알코올 도수 약 62.5%(125 Proof)로 약간의 가수를 거친 뒤 "Independent Stave Company"에서 #3.5 태움 수준(Char Level)으로 가공된 아메리칸 오크 배럴을 공급받아 여기에 통입한다. 증류소는 부지에 약 28동의 해당하는 난방이 되지 않는 전통적인 릭하우스(Rickhouse)가 위치해 있으며, 각 19,600 ~ 20,000여 개의 배럴을 보관할 수 있다. 버번 위스키를 숙성하고 남은 버번 배럴들중 일부는 사워 매쉬 위스키 브랜드인 얼리 타임즈(Early Times) 숙성에 사용되기도 한다.

 

Barton 1792 Distillery (Sazerac Company)

 

  • 1792 Kentucky Straight Bourbon
  • 1792 Ridegemont Reserve
  • Very Old Barton
  • Kentucky Tavern
  • Tom Moore
  • Ten High
  • Colonel Lee
  • Early Times
  • Black Ridge
  • Walking Stick

 

 

 

Review

 

 

버번 리뷰#4) 1792 풀 프루프 싱글 배럴 바이배럴 스토어픽 / 1792 Full Proof Single Barrel ByBarrel Store Pick

1792 Full Proof Single Barrel ByBarrel Store Pick 주종: Kentucky Straight Bourbon Whiskey 원료: Undisclosed (Barton's High Rye Mash Bill) 증류기: Column Still (Beer Still) & Doubler / Double Distillation 원액: Barton Distillery / Char Level.

labas24.tistory.com

 

 

 

Reference

 

 

Tom Moore Put Bardstown on the Whiskey Map

                                     When Thomas Selvin Moore, shown left, in 1889 purchased acreage near Bardstown, Kentucky, he was f...

pre-prowhiskeymen.blogspot.com

 

The Bourbon Trail (4 of 6): Barton 1792

Note: For brevity’s sake, I’m going to breeze over some of the finer points of distillation, as I’ve already written about them in part 1. For a more thorough breakdown of the bourbon process from …

drinksanddrinking.com

 

Tom Moore — Whiskey University

Thomas S. Moore was born in March 1853 in Nelson County, from his parents Charles A. Moore and Catherine (Kate) Ann Moore. The Moore family were descendants of an Irish family who had come west to Kentucky looking for a farm that was both fertile and inexp

www.whiskeyuniv.com

 

#9 KY-Barton / 1792 — Whiskey University

Under Getz's leadership, the Barton Distillery company went on to become Barton Brands Limited and they heavily promoted their flagship bourbon named ”Very Old Barton."  Barton Brands then purchased the Glenmore Distillery in Owensboro, Kentucky. Becaus

www.whiskeyuniv.com

 

First Stop, Barton 1792 Distillery

Our first stop on the Bourbon Classic Media Camp tour was the Barton 1792 Distillery. It, like many present day distilleries, has an interesting history complete with several ownership changes, exp…

bottomofthebarrelbourbon.com

 

American Sprits: The Barton Distillery in Bardstown, Kentucky

 

www.ellenjaye.com

 

Barton Brands - Wikipedia

From Wikipedia, the free encyclopedia A distilled spirits and liquors brand Barton Brands of Kentucky logo Barton Brands, Ltd. was a company that produced a variety of distilled beverages and liqueurs and is now part of the Sazerac Company, which is headqu

en.wikipedia.org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