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위스키증류소36

킬커란(Kilkerran) & 글렌가일(Glengyle), 캠벨타운의 마지막 터치다운 썸네일 킬커란(Kilkerran) & 글렌가일(Glengyle), 캠벨타운의 마지막 터치다운 Glengyle Distillery  1823년, 의회에서 소비세법(Excise Act.)이 통과되면서 많은 불법 증류소들이 합법화되었고 수많은 신생 증류소들이 설립되기 시작했다. 미첼 가문의 일원인 아치발드 미첼(Archibald Mitchell)은 예전부터 불법적인 증류를 수행하고 있었는데, 소비세법이 통과되고 5년이 지난 1828년경 미첼 가문가 연을 맺었던 윌리엄 리드(William Reid)가 합법적인 면허를 취득하고 그의 부지에 스프링뱅크(Springbank) 증류소를 설립했다. 로우랜드에서 이미 증류를 업으로 삼았던 미첼 가문은 캠벨타운에서도 여러 증류소에 대해 관여했다. 아치발드와 그의 동생 휴(Hugh)는 리클라칸(Rieclachan) 증류소의 파트너가 됐으며 메리(Mary)는 드루모어(.. 2024. 12. 30.
스프링뱅크(Springbank), 다품종 소량 생산과 뛰어난 품질 관리 썸네일 스프링뱅크(Springbank), 다품종 소량 생산과 뛰어난 품질 관리 Springbank Distillery  16세기초, 스코틀랜드 서부 외딴곳에 위치한 킨타이어(Kintyre) 반도에 한 여행자무리가 도착했다. 이들은 아일랜드에서 증류 기술을 활용하여 위스키를 만드는 법을 알고 있었는데, 그중 일부는 그곳에 정착했으며 일부는 스코틀랜드 본토로 이주했다고 전해진다. 후에 캠벨타운(Campbeltown)이라고 불리게 되는 이 지역은 비옥하고 넓은 평야지대에서 보리를 재배하기에 매우 이상적이었으며, "Crosshill Loch"으로부터 풍부한 물을 활용할 수 있었고, "Drumlemble"이라 불리던 광산으로부터 질 좋은 석탄을 공급받아 위스키를 생산하기에 매우 유리했다. 이곳에 정착한 사람들은 이러한 이점들에 힘입어 18세기 초 ~ 말까지 약 31개의 증류기를 통해 불법적.. 2024. 11. 27.
잭 다니엘스(Jack Daniel's), 테네시 위스키의 대명사 썸네일 잭 다니엘스(Jack Daniel's), 테네시 위스키의 대명사 Jack Daniel's Distillery  19세기 중반, 북아일랜드와 스코틀랜드 혈통을 가졌으나 정확한 생일은 알려지지 않은 재스퍼 뉴턴 잭 다니엘(Jasper Newton Jack Daniel)이 태어났다. 아버지 캘러웨이 다니엘(Calaway Daniel)은 이후 마틸다 반 잔트와 재혼한 뒤 남북전쟁 중 미국 남부 연합군의 군인으로 복무하였으나 폐렴으로 사망했고, 계모인 마틸다가 잭 다니엘을 핍박하자 그는 집을 나와 어린 나이에 혼자가 되었다. 1864년, 신실한 루터교 목사이자 증류업자였던 댄 콜(Dan Call)에게 거두어진 잭 다니엘은 그의 농장에서 잡일을 하거나 증류 기술을 배우기 시작했고 불과 3년 만에 자그마한 증류소의 파트너가 되었다.  1875년, 형제자매들과 오랜 분쟁 끝에 아버.. 2024. 11. 20.
올드 부쉬밀스(Old Bushmills), 북아일랜드의 오래된 위스키 증류소 썸네일 올드 부쉬밀스(Old Bushmills), 북아일랜드의 오래된 위스키 증류소 Old Bushmills Distillery  1608년, 제임스 1세가 토마스 필립경에게 지금의 북아일랜드 앤트림주 콜레인 카운티 또는 카하네스 카운티 지역에서 위스키를 증류할 수 있는 면허를 부여했다고 전해진다. 1784년, 휴 앤더슨(Hugh Andersron)이 인근 지역에 위치한 수도원의 수도사들이 수세기 동안 완성한 증류 기술을 활용하여 올드 부쉬밀스(Old Bushmills) 증류소를 설립하고 위스키를 생산하기 시작했다. 하지만 증류소는 여러 해 동안 침체기를 겪었고, 1802년과 1822년에는 공식적으로 증류소가 운영되었다는 기록이 없었다고 한다.  19세기 중반, 재건된 올드 부쉬밀스 증류소는 시대의 변화에 맞추어 구리로 이루어진 팟 스틸로 증류기를 변경하여 더 부드러운 위스키를 생산했고.. 2024. 11. 2.
글렌 기리(Glen Garioch), 하이랜드 동부의 오래된 위스키 증류소 썸네일 글렌 기리(Glen Garioch), 하이랜드 동부의 오래된 위스키 증류소 Glen Garioch Distillery  18세기 후반, 근면하기로 소문난 맨슨(Manson) 가문은 농장을 운영했으며 몇몇은 애버딘셔(Aberdeenshire) 지방의 상인으로 활동했다고 전해진다. 가문의 일원이었던 존 맨슨(John Manson)은 와인 생산자였던 삼촌으로부터 영향을 받아 음료 관련 사업에 참여하고자 했고, 1797년경 불과 27세에 불과하던 그는 예로부터 우수한 품질의 보리를 재배해 온 이 올드 멜드럼 지역에서 증류소를 설립하기로 결정하고 외곽에 위치한 여러 양조장과 제혁소 건물을 통합했다. 4년 뒤, 그의 동생인 알렉산더 맨슨(Alexander Manson)이 합류하면서 본격적으로 글렌 기리(Glen Garioch) 증류소를 가동하기 시작했다. 하지만 1년이 채 지나지 않아 ".. 2024. 10. 5.
로즈뱅크(Rosebank), 영광스러운 옛 로우랜드 위스키의 복원 썸네일 로즈뱅크(Rosebank), 영광스러운 옛 로우랜드 위스키의 복원 Rosebank Distillery  18세기에 해당하는 빅토리아 시대에 로우랜드(Lowland)라 불리는 스코틀랜드 남부 지역은 위스키 증류소를 설립하기에 매우 이상적인 장소였다. 섬 한가운데 위치해 있어 영국 어디로든 쉽게 뻗어나갈 수 있었으며, 철도를 통하여 위스키 생산에 필요한 보리를 용이하게 공급받을 수 있었다. 특히 에든버러와 글래스고를 연결하는 포스 & 클라이드 운하는 사람과 물품을 운송하는 데 있어서 매우 큰 역할을 지니고 있었다.  1798년, 스타크(Stark) 가족이 포스 & 클라이드 운하 인근 폴커크(Falkirk)에 위치한 거대한 부지에 증류소를 설립하고 증류 활동을 벌였다. 1827년, 형제 중 한 명인 존 스타크(John Stark)가 사업을 물려받고 운하 서쪽 기슭의 한 부지.. 2024. 9. 28.
맥캘란(Macallan), 뛰어난 품질의 셰리 오크와 중후한 스피릿의 결합 썸네일 맥캘란(Macallan), 뛰어난 품질의 셰리 오크와 중후한 스피릿의 결합 Macallan Distillery  18세기 후반, 보리 농부이자 학교 교사인 알렉산더 리드(Alexander Leid)가 스페이사이드 중심부의 크라이겔라키 마을에 위치한 약 6에이커의 부지를 씨필드(Seafiled) 백작으로부터 임차했다. 그는 자그마한 목조 건물에 이스터 엘키스(Easter Elchies)라는 이름을 붙이고 증류기를 설치하여 불법적인 증류를 수행했다고 전해진다. 1823년, 소비세법이 통과되면서 이듬해 알렉산더 리드는 합법적인 증류 면허를 취득했다. 1825년, 그는 "Alexander Leid & Co."를 설립하여 엘키스라는 이름으로 증류소를 운영했다.  1847년, 알렉산더 리드가 사망하자 제임스 셔러 프리스트(James Sherer Priest)와 제임스 데이빗슨(James .. 2024. 9. 21.
스카파(Scapa), 긴 발효를 통한 풍부한 에스테르와 과일 캐릭터 썸네일 스카파(Scapa), 긴 발효를 통한 풍부한 에스테르와 과일 캐릭터 Scapa Distillery  1885년, 대대적으로 위스키 붐이 일자 글래스고의 블렌더인 "Macfarlane & Townsend"가 자사 블렌드에 위스키 원액을 안정적으로 공급하려는 일환으로 스코틀랜드 최북단에 위치한 오크니(Orkney) 제도에 스카파(Scapa) 증류소를 설립했다. 1887년, 회사가 해체되고 존 타운센드를 총괄 관리자로 하는 "John T. Townsend & Co."가 사업체를 이어받으면서 블렌디드 스카치 위스키를 위한 몰트 원액을 지속적으로 생산했다. 1919년, 대형 화재로 증류소가 파괴되어가는 와중에 인근에 정박해 있던 영국 함대의 선원들이 이를 목격하고 사슬 형태로 물을 끌어와 진압하는 데 성공했다. 화재의 책임으로 존 타운센드는 관리자에서 물러났으며 이후 "Scapa.. 2024. 9. 18.
글렌버기(Glenburgie), 발렌타인의 중추를 담당하는 스페이사이드의 몰트 위스키 증류소 썸네일 글렌버기(Glenburgie), 발렌타인의 중추를 담당하는 스페이사이드의 몰트 위스키 증류소 Glenburgie Distillery  1810년 윌리엄 폴(William Paul)이 스페이사이드 포레스(Forres) 마을에 킬른플랫(Kilnflat)이라는 이름으로 증류소를 설립했으나 공식적인 위스키 생산은 1829년 증류 면허를 취득한 뒤에야 시작되었다. 이후 약 40년간 원활하게 운영되었던 증류소는 재정적인 문제로 인해 1870년 문을 닫았으며, 이듬해 윌리엄 폴은 찰스 케이(Charles Kay)라는 사람에게 증류소를 임대했다. 1878년 찰스 케이가 증류소 이름을 글렌버기-글렌리벳(Glenburgie-Glenlivet)으로 변경하고 증류 면허를 취득하여 위스키를 생산하기 시작했다.   1880년, "Fraser & Grant"가 찰스 케이로부터 면허를 인수했다. 이듬해 증류소의 재건축을 찰.. 2024. 9. 3.
잉글랜드 위스키 증류소 & 리뷰 모음집 썸네일 잉글랜드 위스키 증류소 & 리뷰 모음집 The Lakes Distillery The Lakes VolarThe Lakes MosaicThe Lakes Soleado      St. George's Distillery The English 2013 Single Cask #B1/8799 Korea ExclusiveThe English 9 Years Single Cask #797 BlackadderThe English 11 Years Single Cask #10 North Star Spirits      Bimber Distillery Bimber Peated Cask Batch #1/2020 2024. 8. 10.
스코틀랜드 스페이사이드 위스키 증류소 & 리뷰 모음집 썸네일 스코틀랜드 스페이사이드 위스키 증류소 & 리뷰 모음집 글렌리벳(Glenlivet), 싱글몰트 스카치 위스키를 대표하는 브랜드The Glenlivet Distillery 그램피언(Grampian) 산기슭의 두 개울이 합류하여 형성된 리베트 강(Rivet River)은 북쪽으로 약 9마일을 흐르다가 스페이강(Spey River)의 지류인 아벤 강(Aven River)으로 흘러들어 간다.labas24.tistory.comGlenlivet Distillery Glenlivet Master Distiller's ReserveGlenlivet Licensed DramGlenlivet Nàdurra CS FF0714 Glenlivet Nàdurra CS FF0122 Glenlivet 12 Years 1980'sGlenlivet 13 Years CS Taiwan Excl.. 2024. 8. 10.
벤리네스(Benrinnes), 높은 산 속에 위치한 미지의 스페이사이드 증류소 썸네일 벤리네스(Benrinnes), 높은 산 속에 위치한 미지의 스페이사이드 증류소 Benrinnes Distillery  1826년 피터 맥켄지(Peter Mackenzie)가 증류 면허를 취득하고 스페이사이드에 위치한 해발 841m의 벤 리네스(Ben Rinnes) 산의 이름을 본따 벤리네스(Benrinnes) 증류소를 설립했다. 하지만 이 첫 번째 증류소는 홍수로 인해 파괴되었다. 1835년 존 이네스(John Innes)가 인근 부지에 위치한 농가의 별채를 기반으로 하여 라인 오브 러쓰리(Lyne of Ruthrie)라는 이름의 두 번째 증류소를 설립했다. 하지만 얼마 가지 않아 파산하면서 증류소는 "William Smith & Co."에 매각되었으며, 두 번째 증류소가 벤리네스라는 이름을 공식적으로 사용하기 시작했다.  "William Smith & Co."는 약 30년간 증류.. 2024. 8. 8.
글렌 그란트(Glen Grant), 그란트 형제의 유산 썸네일 글렌 그란트(Glen Grant), 그란트 형제의 유산 Glen Grant Distillery  1823년 소비세 법이 통과되면서 위스키 생산이 합법화되자 토지 소유자였던 존 그란트(John Grant)와 변호사이자 지역의 유지였던 제임스 그란트(James Grant)는 손을 잡았다. 불법 증류 및 밀수의 관행을 끝내고 스페이사이드에서 위스키를 합법적으로 판매해 오던 그란트 형제는 1840년경 아벨라워 증류소의 임대 기간이 만료될 예정이라는 소식을 듣고는 부동산을 인수했다. 이후 증류소 건물을 글렌 그란트(Glen Grant)로 변경하고 "J. & J. Grant" 회사를 설립한 뒤 증류 면허를 취득하여 연간 78,000갤런 상당의 위스키를 생산했다. 글렌 그란트 증류소는 로시머스(Lossiemouth) 항구와 스페이(Spey) 강 그리고 드넓은 보리 생산지.. 2024. 7. 26.
일본 위스키 증류소 & 리뷰 모음집 썸네일 일본 위스키 증류소 & 리뷰 모음집 산토리(サントリ)와 토리이 신지로(鳥井信治郎)サントリ(Suntory) 산토리(サントリ)의 역사는 일본 위스키의 아버지라 불리는 토리이 신지로(鳥井信治郎)와 타케츠루 마사타카(竹鶴政孝) 두 사람으로부터 시작되었다. 1879년 오사카 환전상의 차labas24.tistory.com 야마자키(山崎) & 하쿠슈(白州), 일본 위스키의 살아있는 역사サントリ(Suntory)  산토리(サントリ)와 토리이 신지로(鳥井信治郎)サントリ(Suntory) 산토리(サントリ)의 역사는 일본 위스키의 아버지라 불리는 토리이 신지로(鳥井信治郎)와 타케츠루 마사타카(labas24.tistory.comサントリ(Suntory)山崎 (Yamazaki)白州 (Hakushu) Hibiki Harmony Hibiki Master's Select .. 2024. 7. 21.
로얄 브라클라(Royal Brackla), 로얄 워런트를 받은 최초의 위스키 증류소 썸네일 로얄 브라클라(Royal Brackla), 로얄 워런트를 받은 최초의 위스키 증류소 Royal Brackla Distillery  1767년 인버네스(Inverness)와 인접한 마을인 코더(Cawdor)에서 태어난 윌리엄 프레이저(William Fraser)는 불과 15세에 영국군에 입대하여 인도에서 활동했다. 1812년 수십 년간의 인도 생활을 마치고 본토로 돌아온 그는 하이랜드 고원에 위치한 자신의 고향 코더에 브라클라(Brackla)라는 이름의 증류소를 설립했다. 1817년에 공식 면허를 취득하면서 위스키를 생산하기 시작했으나 당시 횡행하던 불법 증류소들과의 경쟁으로 많은 손실을 보았고, 하이랜드 내에서의 경쟁을 피하기 위한 일환으로 생산한 대부분의 위스키를 잉글랜드로 운송하여 판매했다. 1833년 그의 평판과는 별개로 브라클라 증류소가 생산한 몰트 위스키는 맛이 매우 좋아 명성.. 2024. 5. 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