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lynelish & Brora Distillery
클라이넬리쉬(Clynelish) 증류소는 스코틀랜드 동부 해안에서 내륙으로 3km 떨어진 하이랜드 북부 지역의 이스트 서덜랜드(East Sutherland) 마을에 위치하고 있다. 클라이넬리쉬가 설립되는 배경으로는 19세기 초반, 지주가 소작농의 토지 소유권을 인정하지 않고 강압적인 방법으로 그들을 축출한 뒤 토지에 경계를 확정하여 소유권을 확보하는 등의 인클로저 운동(Enclosure Movement)으로부터 시작된다. 지주들은 양을 방목하고 양모를 팔아 큰돈을 벌기 위해 대대로 조상의 땅에서 농사를 짓던 소작농과 자작농들을 강제로 이주시켰는데, 특히 케이스네스(Caithness)와 서덜랜드(Sutherland)는 이러한 비극의 온상이 되었다. 서덜랜드의 공작과 공작부인은 영지의 15,000명 농민들을 강제 퇴거시켜 농민들 중 일부는 해외로 이주할 수밖에 없었고, 일부는 센트럴 벨트(Central Belt)로 갔으며, 남은 사람들은 새로운 정착지로 강제 이주되어 자신이 속한 지역의 주인을 위해 일하게 되었다. 이때 약 500,000에이커에 달하는 500개의 크고 작은 농장들이 전부 붙태워졌다고 전해진다.
서덜랜드 공작은 브로라 마을에 탄광, 벽돌 작업, 소금 채취, 직조 등을 비롯해 현재 클라이넬리쉬라고 불리는 증류소를 설립하는 등 여러 사업체를 만들었다. 이 소규모 증류소에서 1820 ~ 1822년 사이 연간 약 54,000리터를 생산했으나, 초기 증류 사업은 성공하지 못했다. 브로라 탄전(Coal Field)의 석탄은 품질이 좋지 않아 증류기를 가열하는 데 적합하지 않았기 때문이다. 당시 증류 면허를 취득했던 증류소 관리자 제임스 하퍼(James Harper)는 1827년에 파산했지만, 이듬해에 다시 면허를 취득하여 1834년까지 증류소를 운영했으며, 1846년경 "George Lawson & Sons"가 인수할 때까지 여러 사람들 오가며 1896년까지 지속적으로 위스키를 생산했다.
1868년, 에든버러의 리스(Leith)를 기반으로 하는 주류상인 "James Ainslie & Co."가 설립되었다. 주류무역으로 큰 성공을 거둔 회사는 로우랜드 뱅키어(Bankier) 증류소의 소유주였던 제임스 리스크(James Risk)와 협력하여 클라이넬리쉬의 위스키를 구입하면서 블렌더로서의 사업 확장도 이어나갈 수 있었다. 1896년, 몰트 위스키의 공급을 안정화하려는 일환으로 이들은 클라이넬리쉬 증류소의 지분을 인수하여 새로운 숙성고를 짓고, 건물을 고전적인 빅토리아 시대의 증류 시설로 탈바꿈하는 등 2년 만에 재건하는 데 성공했다.
1898년, 거대 블렌더였던 "Pattison's Ltd."의 급작스런 파산 이후 스카치 위스키 업계 전체에 어두운 그림자가 드리우면서 많은 손해가 발색하기기 시작했다. 1912년, "James Ainslie & Co."는 재정적인 곤경에서 벗어나기 위해 클라이넬리쉬 증류소의 지분을 각각 제임스 리스크와 "Distillers Company Limited"에게 절반을 매각하면서 간신히 파산을 면할 수 있었다. 이듬해 회사는 "Walter Baille & Sons", "Robertson Brothers", "John Gillon & Co."와 합병하여 "Ainslie, Baillie & Co."로 재구성되었다.
1921년, 설립자의 아들이였던 로버트 에인슬리(Robert Ainslie)가 은퇴하면서 회사는 청산되었고, 블렌더인 "Alexander & Macdonald"의 회장 제임스 칼더(James Calder)가 "Ainslie, Baillie & Co."를 인수했다. 그는 자사 소유의 오랜 블렌더인 "David Heilbron Ltd."와 캠벨타운의 증류업체인 "Colville Greenlees & Co."를 "Ainslie, Baillie & Co."에 합병하여 "Ainslie & Heilbron Distillers Ltd."를 구성했다.
1925년, 제임스 칼더는 "Ainslie & Heilbron Distillers Ltd."를 자신이 확장한 "MacDonald, Greenlees & Williams Ltd."의 완전한 자회사로 두었고, 같은 해에 "MacDonald, Greenlees & Williams"와 달위니(Dalwhinnie) 증류소의 지분을 "Distillers Company Limited"에게 모두 매각했다. 회사는 클라이넬리쉬의 단독 소유주가 되었으나, 1930년대에 전 세계를 강타한 대공황으로 인해 약 7년간 문을 닫을 수밖에 없었다. 중간에 잠시 운영이 재개되었으나, 곧 제2차 세계대전의 발발하면서 전시의 보리 공급 및 인력 제한으로 임시 폐쇄되었다.
1960년대에 들어서 위스키 시장이 호황을 이루자 블렌디드 스카치 위스키에 대한 수요가 폭발적으로 증가했다. "Distillers Compnay Ltd."는 늘어나는 위스키 수요를 충족시키기 위해 기존의 위스키 증류소들을 확장하기 시작했으며, 폐쇄되었던 클라이넬리쉬 증류소를 재건했다. 이때 증류기의 가열 방식이 직화에서 전기를 사용하는 내부 가열로 전환되었으며, 브로라 탄전에서의 석탄 채굴 및 사용이 중단되면서 환경 개선이 이루어졌다. 그럼에도 한 쌍의 증류기로는 수요를 충족할 수 없었다.
1966년, "Distillers Company Limited"는 생산 용량을 늘리기 위해 오래된 증류소 건물 옆에 6개의 증류기를 갖춘 현대식 증류소인 "Clynelish A"를 건설하기 시작했다. 기존 증류소는 잠시 폐쇄되었으나, 이듬해에 새로운 증류소가 완공되면서 오래된 증류소를 "Clynelish B"로 명명했고, 두 증류소 모두 클라이넬리쉬라는 이름으로 운영되었다. 1968년, "Clynelish B"에서의 위스키 생산이 중단되면서 지금의 클라이넬리쉬 증류소인 "Clynelish A"에서의 생산에만 전념했다.
쿨일라(Caol Ila), 아일라의 지역적 색채를 간직한 위스키 증류소
Coal Ila Distillery 1846년, 글래스고에 위치한 컴라키(Camlachie)와 리틀밀(Littlemill) 증류소의 소유주기도 했던 헥터 핸더슨(Hector Henrderson)이 리틀밀을 매각하고 아일라섬 동쪽 해안에 있는 포트 아스
labas24.tistory.com
1968년, "Distillers Company Limited" 산하의 쿨일라(Caol Ila) 증류소가 가뭄에 직면하여 보수 작업을 하는 약 1년 동안 문을 닫게 된다. 1969년, 조니워커에 활용할 피트 위스키를 공급하려는 일환으로 회사는 폐쇄시킬 예정이었던 "Clynelish B"를 재가동하여 "Ainsle & Heilbron"에 생산 면허를 이전하고, 블렌딩을 목적으로 하면서 피트를 강하게 입힌 아일라 스타일의 몰트 위스키를 생산하기 시작했다. 재가동되기 이전 브로라 증류소의 몰트 위스키 일부는 차후 올드 클라이넬리쉬라는 별칭이 붙었으며, "Ainslie & Heilbron"에 의해 소수 병입되곤 했다.
1975년에 2개 이상의 증류소가 동일한 이름으로 운영되는 것을 불법으로 규정하는 법안이 제정되었고, 스카치 위스키 협회(SWA)의 권고에 따라 회사는 기존의 오래된 "Clynelish B"를 브로라(Brora) 증류소로 변경했다. 브로라는 1973년부터 약 7 ~ 45ppm 수준의 헤빌리 피티드 몰트 위스키를 생산했으나, 쿨일라 증류소에서의 생산이 안정화되자 1977년부터 비교적 낮은 수준의 피티드 몰트 위스키를 지향하게 된다.
1970년대 후반에 들어서 경기 침체와 전통적인 증류주를 외면하는 젊은 세대가 결합되어 스카치 위스키 판매량은 급감하기 시작했다. 위스키 산업은 급격한 매출 감소에도 불구하고 효과적으로 대응하지 못해 높은 생산량을 유지했으나, 이후 위스키 원액의 과도한 재고와 낮은 수요로 인해 "Distillers Company Limited"는 예산을 삭감하고 다수의 증류소를 축소 및 폐쇄해 나갔다. 브로라 증류소는 당시 가장 작은 증류소 중 하나이면서 설비가 노후화 문제로 생산 효율이 좋지 않았기 때문에 1983년 3월 17일에 영구적으로 폐쇄되었다.
새로운 클라이넬리쉬 증류소는 지속적으로 운영되어 조니워커를 비롯한 여러 블렌디드의 주요 키몰트로써 사용되었는데, 특유의 왁시한 질감과 기름진 풍미는 일관성을 유지해야만 하는 블렌더들에게 있어서 최상의 조건을 갖춘 원액이었고, 어려운 시기에도 살아남을 수 있는 요인 중 하나가 되었다.
1985년, “Arthur Bell & Sons”의 회장인 레이먼드 미켈(Raymond Miquel)이 미국 호텔 체인을 인수하기 위해 시카고에 있는 동안 “Guinness Group”이 적대적 인수를 통해 회사를 삼켜버렸다. “Distillers Company Limited”도 인수하는 데 성공한 “Guinness Group”은 “Arthur Bell & Sons”와 사업을 통합하여 “United Distillers”를 설립했다. 1990년, 클라이넬리쉬 증류소의 생산 면허가 "United Malt & Grain Distillers Ltd."로 이전되었다.
1990년대, 스카치 위스키 시장이 싱글 몰트를 필두로 회복하기 시작하면서 "United Distillers"는 폐쇄되었거나 철거되었던 증류소 원액을 중심으로 한 레어 몰츠 셀렉션(Rare Malts Selection)을 통해 브로라의 20년 및 22년 숙성 제품을 소개했다. 클라이넬리쉬의 경우 활발하게 운영되고 있는 증류소를 중심으로 하는 클래식 몰츠 컬렉션(Classic Malts Collection)에 편입되어 시리즈의 일부가 되었다.
1997년, “Guinness”는 “Grand Metropolitan”를 합병하여 “Daigeo”를 설립했다. 1998년, “United Distillers”는 “International Distillers & Vinters”와 합병하여 “United Distillers & Vinters”를 설립하고 “Diageo plc”의 증류주 부문을 구성했다. 2001년, 회사 이름이 “Guinness United Distillers & Vinters Scotland”로 변경되었으나 이듬해 공식 명칭을 “Diageo Scotland”로 변경했다.
21세기에 들어서 위스키펀의 세르쥬 발랑땡(Serge Valentin)을 비롯해 위스키 애호가들에 의해 브로라 증류소의 싱글 몰트가 재평가되며 프리미엄화되기 시작했다. 폐쇄된 증류소의 희귀 위스키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는 트렌드와 역사적 가치를 지닌 브랜드를 복원하여 자사의 포트폴리오를 강화하고자 하는 회사의 비전 그리고 브로라 지역의 관광을 촉진하고 지역 사회에 경제적 혜택을 제공할 수 있는 일종의 협력 관계에 대해 재고하게 된 "Diageo"는 2017년에 약 3,500만 파운드 상당의 투자를 진행하면서 브로라 증류소의 재건 계획을 수립했다.
2021년 5월에 완공되어 즉시 가동에 들어간 새로운 브로라 증류소는 약 20ppm 수준의 피티드 몰트, 기존의 주철 당화조(Mash Tun)와 팟 스틸, 교체된 발효조(Washback)와 웜텀 응축기(Worm Tub Condenser)를 활용하여 연간 약 80만 리터를 목표로 몰트 위스키를 생산하고 있다.
클라이넬리쉬 증류소는 "Clynemilton Burn"을 주 수원으로 하여 미네랄이 풍부한 물을 공급받는다. 몰트의 경우 인버네스 북쪽의 "Black Isle"이라는 곳에서 보리를 구입해 디아지오 산하의 글렌 오드 몰팅스(Glen Ord Maltings)가 가공한 것을 공급받는다. 주로 논피티드 몰트를 활용하나, 극히 일부 피티드 몰트가 섞여있다. 배치 1회당 약 12.5톤의 몰트가 포르테우스(Porteus) 롤러밀에서 제분된다. 이후 당화조로 펌핑되어 으깨진 뒤 3번 주기로 뜨거운 물과 혼합되어 약 6시간 동안 당화 과정을 거친다.
- 12.5T Lauter Type Stainless Steel Mash Tun x1
- 64℃ 50,000L
- 77℃ 9,000L
- 80℃ 45,000L
당화가 마무리되면서 약 58,000 ~ 60,000리터의 맥아즙(Wort)이 생성된다. 10개의 발효조 중 하나로 펌핑된 맥아즙은 잠시 열을 시킨 뒤에 압축 증류 효모 180kg과 혼합되어 약 80시간 동안 발효된다. 클라이넬리쉬의 긴 발효 시간은 위스키에 보다 풍부한 열대 과일 풍미를 부여한다. 발효가 마무리되면서 알코올 도수 약 8 ~ 9%의 워시(Wash)가 생성된다.
- 58,000L Oregon Pine Washback x8
- 58,000L Stainless Steel Washback x2
증류소 내부의 스틸룸에는 구리로 된 3쌍의 팟 스틸이 있다. 중간 부분에 환류구(Reflux Ball)가 있어 구리와의 접촉을 증가시켜 더 많은 황 화합물을 제거하도록 하고, 환류를 증가시켜 보다 가볍고 풍부한 과실 에스테르를 부여한다. 백조 목(Swan Neck)과 연결된 라인 암(Lyne Arm)은 하향식으로 되어 있으며 스피릿 스틸이 워시 스틸보다 각도가 더 낮다. 이는 알코올 증기 속 무거운 화합물의 통과를 용이하게 함으로써 증류액에 강렬하고 기름진 특성을 부여한다.
- 25,060L(17,000L) Onion Shape Wash Still x3 / Steam Coil / Shell-and-Tube Condenser
- 26,241L(19,000L) Onion Shape Spirit Still x3 / Steam Coil / Shell-and-Tube Condenser
워시가 워시 스틸을 거쳐 가열 & 농축되면 알코올 도수 약 20%의 로우 와인(Low Wine)이 나온다. 로우 와인은 다시 스피릿 스틸을 거쳐 가열 & 농축된다. 특히 클라이넬리쉬 증류소는 대부분의 다른 증류소들과는 달리 로우 와인과 페인트(Feints) 와인을 서로 다른 탱크/리시버에 분리하는데, 이로 인해 탱크와 증류기 안에는 다양한 종류의 침전물이 형성된다. 이 침전물은 증류기 내부를 코팅하여 다음 배치에 영향을 주고, 클라이넬리쉬만이 가진 왁시한 특징을 만들어낸다고 한다. 이후 미들컷 과정을 거쳐 본류만을 수집하면서 알코올 도수 약 68 ~ 69%의 가볍고 왁시하며 과일 향이 풍부한 뉴 메이크 스피릿/뉴팟이 탄생한다. 연간 약 480만 리터의 순수 알코올을 생산할 수 있다.
증류액의 약 95%는 탱크로리를 통해 "Diageo" 산하의 복합시설인 캠버스(Cambus)로 운송되어 통입을 거친 후 랙(Rack) 방식의 숙성고에 안치된다. 거의 대부분이 조니워커 골드라벨(Johhnie Walker Gold Label)과 같은 회사의 주요 블렌디드 스카치 위스키 브랜드에 활용된다. 나머지 생산량의 5% 싱글 몰트로 활용하기 위해 알코올 도수 약 63.5%로 가수 된 후, 주로 아메리칸 및 유러피안 오크에 통입된다. 통입을 마친 오크통은 부지에 위치한 더니지(Dunnage) 방식의 숙성고 일곱 동에 안치되어 숙성에 들어간다. 약 6 ~ 7000개의 캐스크를 보관하고 있다.
2001년, "Diageo"는 유명 증류소와 폐쇄된 증류소에서 생산된 위스키들을 매년 출시하는 디아지오 스페셜 릴리즈(Diageo Special Release)에 브로라를 구성했으며, 2014년부터 클라이넬리쉬가 포함되기 시작했다. 2002년에는 클라이넬리쉬 14년이 공식적으로 병입 되면서 현재까지도 많은 사람들에게 사랑받고 있다. 독립 병입자들에게서 "Distilled in Sutherland", "Sutherland", "Secret Highland", "Highland Region"라는 이름으로 클라이넬리쉬를 반나볼 수 있으나, 그 가격이 워낙 흉악해 시장에서도 높은 가격이 형성되어 있다.
Review
싱글몰트 리뷰#515) 클라이넬리쉬 12년 핸드필 #2023/006 디스틸러리 익스클루시브 / Clynelish 12y Hand-Fi
Clynelish Distillery 클라이넬리쉬(Clynelish) & 브로라(Brora), 위스키 마니아들을 홀리는 독보적인 캐릭터Clynelish & Brora Distillery 클라이넬리쉬(Clynelish) 증류소는 스코틀랜드 동부 해안에서 내륙으로 3km
labas24.tistory.com
싱글몰트 리뷰#570) 클라이넬리쉬 1996 크리스티안 덜리 셀렉션 / Highland Single Malt 1996 Christian Dully Se
Clynelish Distillery 클라이넬리쉬(Clynelish) & 브로라(Brora), 위스키 마니아들을 홀리는 독보적인 캐릭터Clynelish & Brora Distillery 클라이넬리쉬(Clynelish) 증류소는 스코틀랜드 동부 해안에서 내륙으로
labas24.tistory.com
싱글몰트 리뷰#569) 클라이넬리쉬 26년 싱글 캐스크 더 넥타 오브 더 데일리 드램 / Clynelish 26y Single
Clynelish Distillery 클라이넬리쉬(Clynelish) & 브로라(Brora), 위스키 마니아들을 홀리는 독보적인 캐릭터Clynelish & Brora Distillery 클라이넬리쉬(Clynelish) 증류소는 스코틀랜드 동부 해안에서 내륙으로
labas24.tistory.com
싱글몰트 리뷰#408) 클라이넬리쉬 26년 시그나토리 빈티지 시밍턴스 초이스 / Clynelish 26y Signatory Vin
Clynelish Distillery 클라이넬리쉬 & 브로라(Clynelish & Brora), 위스키 마니아들을 홀리는 독보적인 캐릭터Clynelish & Brora Distillery 클라이넬리쉬(Clynelish) 증류소는 스코틀랜드 동부 해안에서 내륙으로 3k
labas24.tistory.com
싱글몰트 리뷰#578) 클라이넬리쉬 26년 싱글 캐스크 엘릭서 디스틸러스 / Clynelish 26y Single Cask Elixir
Clynelish Distillery 클라이넬리쉬(Clynelish) & 브로라(Brora), 위스키 마니아들을 홀리는 독보적인 캐릭터Clynelish & Brora Distillery 클라이넬리쉬(Clynelish) 증류소는 스코틀랜드 동부 해안에서 내륙으로
labas24.tistory.com
싱글몰트 리뷰#577) 클라이넬리쉬 28년 싱글 캐스크 시그나토리 빈티지 시밍턴스 초이스 / Clynelish
Clynelish Distillery 클라이넬리쉬(Clynelish) & 브로라(Brora), 위스키 마니아들을 홀리는 독보적인 캐릭터Clynelish & Brora Distillery 클라이넬리쉬(Clynelish) 증류소는 스코틀랜드 동부 해안에서 내륙으로
labas24.tistory.com
싱글몰트 리뷰#228) 클라이넬리쉬 1996 톰슨 브로스 / Distilled in Sutherland 1996 Thompson Bros.
Clynelish Distillery 클라이넬리쉬 & 브로라(Clynelish & Brora), 위스키 마니아들을 홀리는 독보적인 캐릭터Clynelish & Brora Distillery 클라이넬리쉬(Clynelish) 증류소는 스코틀랜드 동부 해안에서 내륙으로 3k
labas24.tistory.com
싱글몰트 리뷰#297) 클라이넬리쉬 2006 싱글 캐스크 고든 & 맥페일 코노셰어 초이스 / Clynelish 2006 Sin
Clynelish Distillery 클라이넬리쉬 & 브로라(Clynelish & Brora), 위스키 마니아들을 홀리는 독보적인 캐릭터Clynelish & Brora Distillery 클라이넬리쉬(Clynelish) 증류소는 스코틀랜드 동부 해안에서 내륙으로 3k
labas24.tistory.com
싱글몰트 리뷰#20) 클라이넬리쉬 2010 싱글 캐스크 톰슨 브로스 / Highland Region 11y Single Cask Thompson Bro
Clynelish Distillery 클라이넬리쉬 & 브로라(Clynelish & Brora), 위스키 마니아들을 홀리는 독보적인 캐릭터Clynelish & Brora Distillery 클라이넬리쉬(Clynelish) 증류소는 스코틀랜드 동부 해안에서 내륙으로 3k
labas24.tistory.com
싱글몰트 리뷰#276) 클라이넬리쉬 2012 SMWS 26.197 / Clynelish 2012 SMWS 26.197
Clynelish Distillery 클라이넬리쉬 & 브로라(Clynelish & Brora), 위스키 마니아들을 홀리는 독보적인 캐릭터 Clynelish & Brora Distillery 클라이넬리쉬(Clynelish) 증류소는 스코틀랜드 동부 해안에서 내륙으로 3km
labas24.tistory.com
싱글몰트 리뷰#268) 클라이넬리쉬 2013 SMWS 26.175 / Clynelish 2013 SMWS 26.175
Clynelish Distillery 클라이넬리쉬 & 브로라(Clynelish & Brora), 위스키 마니아들을 홀리는 독보적인 캐릭터 Clynelish & Brora Distillery 클라이넬리쉬(Clynelish) 증류소는 스코틀랜드 동부 해안에서 내륙으로 3km
labas24.tistory.com
Reference
Clynelish distillery - Wikipedia
Whisky distillery in Brora, Scotland Clynelish distilleryLocationBrora, SutherlandOwnerDiageoFounded1967StatusOperationalWater sourceClynemilton burnNo. of stills3 wash stills3 spirit stillsCapacity4,800,000 litresTypeSingle maltAge(s)14 YearsCask type(s)S
en.wikipedia.org
The History of Brora & Clynelish: Everything You Need To Know - Mark Littler Ltd
Brora & Clynelish are sister distilleries in every sense. Find our more about the shared histories of Brora & Clynelish.
www.marklittler.com
Clynelish | Scotch Whisky
Clynelish is, today, a rarity in that it produces a ‘waxy’ new make spirit – think snuffed candles or waxed jackets – a character which is created in a most unusual fashion.
scotchwhisky.com
Clynelish
Clynelish ist eine der am nördlichsten gelegenen Brennereien Schottlands. Sie wurde 1819 in Brora von den Marquess of Strafford gegründet. Ihre Gründung bedeutete das Ende der Schwarzbrennerei in diesem Gebiet und stellte einen Markt für lokal angebaut
www.whisky.com
Clynelish
CLYNELISH 14 years old 43 % FLORA & FAUNA Distilled 1980 Bottled 1992 Clynelish Distillery, Brora, Sutherland One of the most northerly in Scotland, Clynelish distillery was established in Brora by the Marquess of Stafford in 1819. Its bui
www.whiskybarplaza.nl
Clynelish the sloped garden
News in January 2014: Diageo has announced a £30m expansion at its Clynelish. The distillery will see the installation of an additional mashtun, ten new washbacks and six new copper stills. It will effectively double the production capacity to nine milli
www.whisky-distillery.net
'Whisky & Whiskey > Distillery & Brand'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글렌알라키(Glenallachie), 극적이고 센세이셔널한 변화를 이끌어낸 위스키 생산자 (0) | 2023.09.06 |
---|---|
앗케시(厚岸) & 켄텐실업(堅展実業), 신생 일본 위스키의 희망 (0) | 2023.09.04 |
헤븐힐(Heaven Hill), 거대 버번 산업의 핵심축을 담당하는 곳 (0) | 2023.06.24 |
블라드녹(Bladnoch), 공격적인 리뉴얼을 진행한 로우랜드 증류소 (0) | 2023.06.24 |
로즈아일(Roseisle), 디아지오의 신생 스페이사이드 증류소 (0) | 2023.06.12 |